본문 바로가기
협회 소개

(MKCSA)몽한문화공유협회 & (DCHT)디지털문화허브사업단 소개

by MKCSA 2022. 9. 3.

(MKCSA Korea) 강동구회장(Kанг Дун-гу Дарга)이 몽한문화공유협회 한국대표부 소개와 DCHT 프로젝트사업단 및 IBH 비즈니스사업단과의 협력과 비즈니스모델 소개, 추진 방안 등에 대하여 세부사항 안내와 함께 주요 프로젝트 발표를 하고 있다.

 

 

(MKCSA)몽한문화공유협회 한국대표부 

 

인사말 

2022년 올해로 위대한 징기스 칸 황제의 탄생 860주년이 되는 해 이며 또한 한몽 수교 32주년이 되는 해 이기도 합니다.

 

칭기즈칸의 나라 몽골과 솔롱고스(무지개나라)의 나라 대한민국, 양국은 같은 혈통의 민족입니다.

 

그동안 한국과 몽골의 많은 분들의 정성어린 노력으로 양국의 문화 공유를 위한 세미나, 학술회의 개최 등 역사문화 계승발전을 위한 다양한 분야에서 서로가 협력하여 왔습니다.

 

위대한 황제 칭기스칸과 그의 후계자들이 통치한 대제국의 역사와 문화유산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뜻있는 분들의 그동안 노고에 대하여 우리 모두가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과 경의를 표합니다.

 

몽골제국 칭기즈 칸 !

칭기즈 칸의 리더쉽은 오늘날까지도 전 세계적으로 추앙 받고 있으며 모든 리더그룹들이 그의 리더쉽을 벤치마킹 하기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고 있습니다.

 

세계사의 위대한 영웅들은 언제나 있었습니다.

석가모니 부처는 깨달음의 법륜을 인류에게 남겼습니다.

공자는 가족과 국가 관계를 규제하기 위해 민법을 만들어 남겼습니다.

모세는 유대인의 일을 다스리기 위해 하나님의 율법을 따랐습니다.

예수는 기독교인들에게 율법을 전파했습니다.

이 외에도 예언자 무함마드 등 많은 영웅들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징기스 칸은 새로운 종교를 태동 시키지 않았지만 모든 종교에 자유를 보장하고 인류 공통의 꿈인 세계 평화를 이룩했습니다. 당시 징기스칸은 몽골의 옛 수도인 하르호룸에서 세계 모든 종교의 공존을 받아들이고 종교의 자유를 최우선으로 했으며 몽골의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유로운 이동과 여행이 가능했으며 치안상의 안전과 어떠한 위험에도 직면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매우 인도적이고 공정하며 평등하고 안전한 그런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고자 했던 징기스 칸의 통치 철학입니다.

 

국가 간 개방 무역, 자유 경제, 법치, 국가 및 윤리의 원칙을 만들었고 자신도 동등한 권리로 법의 지배를 받았습니다.

일출부터 일몰까지 넓은 지역을 다스렸지만 금 장신구와 천 옷을 아낌없이 누리지 않고 남들과 동등한 권리를 누리며 살았던 주인이 근대 문명의 기본 원리를 만들었습니다.

 

광활한 땅과 제국의나라,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수백만의 민족과 민족이 하나의 통치, 하나의 행정, 하나의 질서로 통일되고 통신 인프라가 발달하여 몽골의 대평화(Pax Mongolica) 시대가 열렸습니다. 당시의 통신 인프라는 지금 이순간 디지털문명의 시초인 디지털 유목민의 산업을 태동 시키는 결과로 이어 졌습니다.

 

징기스칸은 그런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징기스칸이 누구였는지, 장군이자 외교관이었는지, 법치주의를 어떻게 확립했는지, 자유경제와 종교의 자유를 어떻게 확립했는지, 법이라는 민주주의의 원칙을 어떻게 선포했는지 그리고 평등하고 소통하고 존중하며자유롭게 많은 나라를 통치했던 철학이 무엇인지 많은 학자들과 전문가들, 국가의 리더, 사회 경제 집단들이 연구하고 있습니다.

 

21세기의 지금 현재도 전세계는 여전히 징기즈칸의 리더쉽과 그 목표인 인류 평화의 보편적인 가치를 달성하기 위하여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한편 대한민국 15대 대통령이자 노벨평화상 수상자이며 대한민국의 디지털 유목민의 인프라를 건설한 김대중 대통령은 대 몽골 건국 800주년을 맞아 징기스칸의 업적은 다음과 같은 역사적 의의가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첫째, 전세계 동,서양을 자유,평화로 연결하는 노선으로 세계문명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둘째,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동양의 전파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습니다.

셋째, 지리학, 천문학, 수비학, 지도 기술이 서양에서 대중화 되었습니다.

넷째, 동서양의 문화·경제적 관계를 강화함으로써 세계의 미래 발전 과정이 바뀌었습니다. 라고 했습니다.

 

몽골은 세계사의 중심지이자 징기스칸 제국의 발상지이며 몽골인은 이 찬란한 역사와 문화 유산의 수호자입니다.

 

이 위대한 역사의 순간에 몽골 문화공유 어소시에이션 및 관련 사업단 프로젝트의 커다란 대의에 함께하게 된 것을 무안한 영광으로 생각하며 양국의 문화공유 협력과 관련비즈니스 모델들이 모든 참여자들과 함께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양국간 더욱 더 공고한 우의와 교류,협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기대 합니다.

 

몽한문화공유협회 및 프로젝트 사업단과 모든 협업 기관,단체 여러분의 무궁한 발전을 진심으로 기원 합니다.

감사합니다. 

 

 

 

(MKCSA)몽한문화공유협회

(Mongolian-Korean Sharing Cultural Association) & (DCHT)사업단 소개

 

 

MKCSA CI

 

 

  명칭·연혁 

Монгол Солонгос соёл хуваалцах Холбоо(몽한문화공유협회)

영문명 : (MKCSA)Mongolian-Korean Sharing Cultural Association

(MKCSA)몽한문화공유협회 한국대표본부

      Mongolian-Korean Sharing Cultural Association Korea Headquarters

 

- 출범 : 2022 7 26일 주무관청(몽골국 국가등록청, 000246923)으로부터 법인설립 허가를 취득하여 출범 

설립허가서 : 9071107673

- 등록일 : 2022.07.26

- 등록번호 6894585

도메인(홈피) : https://mkcsa.tistory.com/

- 이메일 : 몽골(otgotgo@yahoo.com)

                한국(kmbc976@gmail.com)

주  소 : 몽골 / 울란바타르시 바양주르흐구 1414구역 58.69

전  화 : 몽골(976)-9908-3587, 9919-3857

              한국(82)-10-9939-9760, 10-6665-1327

 

미션 .한 양국 국민이 함께하는 문화공유, 교류 및 문화강국 발전을 위한 협력

전략 인적물적정보 공유의 왕래와 교류 협력을 통하여 문화경제 공동체 확립

공유가치 문화공유전통문화계승문화 발굴,협력을 통하여 양국 우호증진 강화 교류확대

 

  주요 추진업무 지원

.몽 양국의 문화공유 확산을 위한 교류,협력 확대를 위한 조직운영 등 문화공유의 새로운 체제를 구축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기반 조성과 관련 프로젝트 수행 

① 문화기념비 공원 조성 및 관련 프로젝트별 타당성 조사위원회 활동 지원

몽한 문화컨퍼런스 & 역사 문화 관련 MICE 프로그램 운영 지원

 

 

(MKCSA)프로젝트 사업단(DCHT) 

 

(DCHT)디지털문화허브사업단 

(DCHT)디지털문화허브사업단(Digital Culture Hub Project Team)은 (MKCSA)몽한문화공유협회 산하 단체로 한.몽 문화공유를 통한 관련 비즈니스와 수행할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하여 설립된 팀 

 

사업법인 /  프로젝트 & 관련 사업단

 

 

(DCHT)협력단 /  프로젝트 별

 

□ 한국 & 몽골 전문가 그룹 협력단 

- 프로젝트별 기획제작운영마케팅커뮤니티 비즈니스팀

 

한국 & 몽골 커뮤니티 협력단

- 프로젝트별 스토리작가디자인작가연출감독엔터테인먼트 총감독팀

 

한국 & 몽골 디지털문화 비즈니스 관련 프로젝트 협력단

- 한,몽 프로젝트별 비즈니스팀

- KDIC & MBIA, DCHT 협력팀

 

 

(DCHT)주요 사업

 

 디지털문화 콘텐츠 교류, 공연, 프로그램 추진 사업 / 디지털(블록체인)기술

▲ 글로벌 샤머니즘 행사(K2-POP), 공연 & MICE

▲ 연계 에코생태관광타운 (게르형 호텔식 스마트게르 리조트형 타운)

▲ 승마타운 & 드론비행 친환경생태관광

▲ “GDBH”  사업단  연계 힐링 투어 프로젝트 / NFT 경제생태계 조성 및 상용화

▲ 디지털(블록체인)기술 연계 몽골초원 양(Sheep)

 

 디지털(블록체인)기술 협력 생태문화 / NFT & Metaverse 디지털 플랫폼

▲ 게임 / 전통 & 대중문화 연계게임디지털관련게임

▲ 관광 / 관련사업 연계 디지털 관광타운, 역사,문화 관광 & 체험 프로그램 운영

▲ 공연,영화(드라마) / 문화 콘텐츠 공연, 디지털 다큐멘터리 제작영화제작 

 

 기념비 공원 조성사업(타당성 조사) / 역사문화 주요인물 발굴

▲ 쿠빌라이 대칸의 제국공주 (쿠두루칼리미쉬 /쿠툴룩켈미쉬)

▲ 원 황후(기황후)

▲ 공민왕의 노국대장공주 (패아지근씨)

▲ 칭기즈칸의 홀랑 고려인 부인 등

▲ 기타 역사인물 발굴

 

 

 (MKCSA) 주요 임원

 

 명예회장 / Honorary Chairman  Ганг Дун-гу Дарга / DOMOG & KDIC 회장

 

(KDIC)Korea Digital Industry Convergence Council, Chairman

(GDBH)Global Digital Business Hub Team, Chairman

(Eco Company)Patimakorea, Domog, Chairman

(GIBD)Global Innovation Business Development Ctr, Korea Headquarters Chairman

(MBIA)Mongolia Blockchain Industry Support Association, Honorary Chairman

Mongolian local government, Smart City ECO Project Team, CEO

(MKCSA)Mongolia Korea Cultural Sharing Association, Honorary Chairman

 

◑ 회장 / Chairman  D. Otgonbat  / UN 및 몽골국가인권위원회 고문 & ()지자체장

D. Otgonbat

Mongolian-Korean Sharing Cultural Association Chairman

Amnesty International Coordinator and CEO 
National Advisor to the United Nations and Mongolian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Director of the Mongolian National Center for Human Rights Education 
Director, Small Business Support Center, Bayanzurkh District, Government of Mongolia 
Khural representatives of the citizens of the Bayanzurkh region of the capital

 

 

 회원·조직 

□ 회원 : 정회원조직위원운영위원이사회 의결을 거친 몽한문화공유 관련 기관·단체 인사 등 사회 각계 인사 총 100명 으로 구성 

 

 조직·기구 

명예회장

회장

수석부회장 

부회장

운영위원회 / 운영위원회재정위원회홍보위원회

분과위원회 / 문화교류위원회문화발굴위원회문화프로젝트위원회

 

 목적 

.한 양국간 문화공유 및 교류,협력 & 전통,대중문화 발굴유지,기념 공동사업 추진 등을 통하여 양국간 우호협력 강화

 

 교류,협력 기관,단체 & MOU 체결 현황

▲ 한국디지털산업융합협의회

▲ 한국디지털산업협회

▲ 제주마을문화진흥원

▲ (IHU)국제휴머니티총연맹

▲ 국제메타아티스트협회

▲ 몽골블록체인산업지원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