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연구팀이 오늘날 유럽과 중앙아시아의 14개국에서 5,000~35,000년 전에 살았던 고대인 356명의 유전자를 연구했습니다.
국가 과학 아카데미 시베리아 지부의 고고학 및 민족학 연구소는 이것이 국제 연구원 팀의 첫 번째 광범위한 연구이며 러시아의 고고학자들이 팀에 참여했다고 보고했습니다.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는 저널 "Nature"에 게재되었습니다.
타지키스탄 투트카울에서 한 연구팀이 신석기 시대에 살았던 한 남자의 게놈을 해독했다. 이 사이트에 대한 연구는 러시아 과학 재단의 지원을 받아 시베리아 고고학자들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유럽 대륙은 후기 구석기 시대에 살았던 몇 가지 독특한 고고학 문화의 고향입니다. 그러나이 사람들의 유전 적 유사성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 유전 연구는 유럽의 다른 지역에 살았던 고대 사람들이 유전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되지 않았음을 보여줍니다.
고대에 가장 널리 퍼진 유럽 문화 중 하나는 32-24,000년 전에 남서부, 중부 및 남부 유럽의 영토에 존재했던 Gravettian 문화였습니다. 그러나 연구원들은 이 고대 인류 집단이 마지막 빙하기 이후 지역의 인구와 유전적으로 관련이 없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과학자들은 약 14,000년 전 기후가 따뜻해진 후 고대 발칸 반도 사람들이 이탈리아 반도에 정착하여 후기 에피그라베티안 문화를 만들었다고 믿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는 Tutkaul 정착지의 인간 게놈을 해독할 수 있었고, 유전적으로 후기 구석기 시대에 동부 시베리아(이르쿠츠크 주 및 크라스노야르스크 영토)에 정착한 고대 사람들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또한 투트카울의 인간 유전자는 신석기 시대에 현재의 이란에 살았던 사람들과 고대 투란 지역 사람들의 흔적을 보여주었다"고 러시아 시베리아 지부의 고고학 및 민족학 연구소 직원인 스베틀라나 슈나이더가 말했다. 과학 아카데미.
따라서 타지키스탄에 있는 투트카울 정착지의 고대 거주자에 대한 유전적 연구는 중앙아시아가 항상 고대 유럽인과 아시아인의 이주 사이의 주요 교차점이었다는 오랜 가설을 확인시켜줍니다.
'문화교류.협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서귀포 문화재 야행 (0) | 2023.04.24 |
---|---|
한국 어린이들이 몽골을 여행하며 몽골 문화와 생활 방식을 배우게 됩니다. (0) | 2023.04.11 |
한-몽 문화협력 확대…‘문화교류시행계획서’ 체결 (0) | 2023.02.19 |
징기스칸 박물관, 한국에서 홍보. 윤형원 관장(국립부여박물관) 몽골 북극성 훈장 수여 (0) | 2022.11.16 |
몽골-터키 문화 협력, 메르겐 토니눅 동상.복합 박물관 기공식. 기념물 보존 및 복원 (0) | 2022.11.02 |